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독립운동가 이회영 자작 컬러복원

    목차






 독립운동가 이회영 자작 컬러복원

1867년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


1905년 을사 보호 늑약이 체결되자

조정의 고관이었던 이상설 및

친동생 이시영 등과 함께 

을자 보호 조약의 철회 운동 및 을사오적의 암살을 모의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06년 만주의 무장 독립운동 기지를 구상하기 위하여

다량의 재산을 처분하였다.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 평화 회의에

밀사를 파견할 것 을 고종에게 건의하였다.


1910년 경술 국치가 일어나자 전 가족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전 재산을 처분해 독립운동과 그 외 활동에 투신하였으나

일본의 첩보망에 발각되어 105인 사건이 발생하여 차질을 빛었다.


1918,19년 고종의 망명을 비밀리에 계획하였으나 고종의 서거로 인하여

계획이 실패로 돌아갔다.


차후 상하이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될 때에

권력 다툼이 유발될 가능성을 제시하여 반대하였고

이로 인해 임시정부가 위치한 상하이를 떠나 베이징으로

건너갔다.


그의 예상은 적중하여 차후 1921년을 전후하여

임시 정부 내에 내분이 일어났을 때에

신채호와 분쟁을 조정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1931년 만주 사변이 일어나자 독립운동가들이 상하이에 집결,

항일구국연맹의 의장으로 일하게 되었다.


그후 일본 제국의 인프라에 대한 파괴 공작을 꾀하던 흑색공포단을

조직 및 진두지휘하였으나


끝내 1932년 11월,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가 사이의 연락망을

구성하려던 와중 밀정에 의하여 감옥에 갇힌 후

고문 후유증으로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댓글